반응형

전체 글 77

3. REST API에 대한 이해

오늘은 REST A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REST API이란 https://restfulapi.net/ What is REST REST is an acronym for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It is an architectural style for hypermedia systems and was first presented by Roy Fielding. restfulapi.net 'Roy Fielding'이라는 분이 2000년에 처음으로 발표한 것으로,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이다. A Web API(or Web Service) conforming to the REST architectural style is a RE..

Study/기타 2022.02.20

10. 백준 코딩테스트 1744번 문제 python

이번에 풀 문제의 알고리즘은 Greedy Algorithm이다. 정답률은 27.3%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744 1744번: 수 묶기 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합을 구하려고 한다. 하지만, 그냥 그 수열의 합을 모두 더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수열의 두 수를 묶으려고 한다. 어떤 수를 묶으려고 할 때, 위치에 www.acmicpc.net 들어가기 전.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은 최적의 해를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로, 여러 가지 경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 올 때 그 순간에 최적인 것만 선택해 나가는 방식을 진행하여 최종적인 해답에 도달하는 알고리즘이다. 해결방법. 문제를 분석해보자. 받을 수 있는 값은 음수, 0..

Study/백준코테 2022.01.25

9. 백준 코딩테스트 4796번 문제 python

이제부터 Greedy Algorithm을 중점으로 풀어보도록 하겠다. 정답률은 39.1%정도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4796 4796번: 캠핑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L, P, V를 순서대로 포함하고 있다. 모든 입력 정수는 int범위이다. 마지막 줄에는 0이 3개 주어진다. www.acmicpc.net 들어가기 전.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은 최적의 해를 구하기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로, 여러가지 경우 중 하나를 선택해야할 상황이 올때 그 순간에 최적인 것만 선택해 나가는 방식을 진행하여 최종적인 해답에 도달하는 알고리즘이다. 해결방법. 문제를 분석해보자. P일 중 L일을 사용할 ..

Study/백준코테 2022.01.25

4. 윈도우 파이참에서 파이썬 컴파일하기

Pycharm을 사용하다가 다른 Python File을 생성 후 컴파일을 돌리고 싶지만, main파일이나 이전 파일에서 계속 컴파일이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론 능숙하게 다루시는 분들은 잘 처리하시지만 내가 처음 파이참을 만지면서 겪었던 고충 중 하나라 포스팅해보기로 했다. 파이참에서 New Project를 눌러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자. 그렇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된다. 우측 Create Project라는 창이 뜬다면 저장 위치와 적용할 인터프리터를 찾아주면 된다 만약 인터프리터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면, 아래 링크 중간 정도에서 인터프리터 적용하는 것을 참고하면 된다. https://pcseob.tistory.com/11 1. 윈도우에서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하기 (파이참, 아나콘다) 코딩..

Study/Python 2022.01.23

4. 윈도우 파이참에서 파이썬 컴파일하기

Pycharm을 사용하다가 다른 Python File을 생성 후 컴파일을 돌리고 싶지만, main파일이나 이전 파일에서 계속 컴파일이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론 능숙하게 다루시는 분들은 잘 처리하시지만 내가 처음 파이참을 만지면서 겪었던 고충 중 하나라 포스팅해보기로 했다. 파이참에서 New Project를 눌러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자. 그렇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된다. 우측 Create Project라는 창이 뜬다면 저장 위치와 적용할 인터프리터를 찾아주면 된다 만약 인터프리터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면, 아래 링크 중간 정도에서 인터프리터 적용하는 것을 참고하면 된다. https://pcseob.tistory.com/11 1. 윈도우에서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하기 (파이참, 아나콘다) 코딩..

Study/Python 2022.01.23

2. Reactive Programming

오늘은 Reactive Programm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Reactive Programming이란 Reactive programming is programming with asynchronous data streams. 비동기 데이터스트림을 이용한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말한다. 비동기란 동시에 진행되지 않는 것을 뜻하고, 데이터 스트림이란 데이터의 양이 한정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시간에 따라 값이 변하는 데이터의 흐름이라는 뜻이다.(비동기에 더 자세한 내용은 앞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pcseob.tistory.com/35) 그러면 Reactive Manifesto(선언문)은 어떤 내용 일까? https://www.reactivemanifesto.org/ Th..

Study/기타 2022.01.18

8. 백준 코딩테스트 2798번 문제 python

이번에는 브루트포스(Brute force)의 문제 블랙잭을 풀어보았다. 정답률은 45.6%정도로 다소 높은편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798 2798번: 블랙잭 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3 ≤ N ≤ 100)과 M(10 ≤ M ≤ 3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 양의 정수이다.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 www.acmicpc.net 들어가기 전. 브루트포스(Brute Force)는 조합 가능한 모든 경우를 대입하는 해결법을 말한다. 간단하게 4자리 비밀번호를 맞추기 위해서 0000~9999까지 모든조합을 대입하는 방법을 브루트포스라고 한다. 블랙잭이란 카드게임은 숫자카드에 쓰여있는..

Study/백준코테 2022.01.12

1. Asynchronous 비동기

이번에 포스팅할 주제는 비동기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비동기에 대한 내용은 필수적이고, 내 블로그에 곳곳에 보면 비동기에 관련된 글이 있지만, 프로그래밍을 위한 글이라 자세하게 작성하지 않아서 이번에 제대로 작성하도록 하겠다. Asynchronous 비동기 비동기란 비동기와 스레드 1. Asynchronous 비동기 Asynchronous 비동기의 사전적 의미는, "not occurring at the same time",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이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순차적(Synchronous)으로 진행이 된다. print(1) print(2) print(3) print(4)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하자. 실행을..

Study/기타 2021.11.25

9. Flutter 상태관리법 Riverpod 0.14.0 그리고 firebase (2, ChangeNotifier)

이번 포스팅은 상태 관리법 Riverpod 0.14.0 버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Flutter의 상태관리 Riverpod 0.14.0 Riverpod의 기본 사용법 pubspec.yaml, import 그리고 main Riverpod ChangeNotifier 오늘은 Flutter의 상태 관리 중 Riverpod이다. 단순한 Riverpod사용법은 아래 링크에 아주 자세하게 되어있으니 한번 꼭 보도록 하고, 여기 포스팅에서는 Firebase의 RealtimeDatabase를 가져오는 코드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atwWbkBdepE&t=647s&pp=ugMICgJrbxABGAE%3D 내가 이해한 것 그리고 내가 사용했던 코드들..

Study/Dart,Flutter 2021.11.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