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6/20 2

Flutter의 Clean Architecture 클린아키텍처, 각 Layer에 대하여

앞서 배웠던 내용으로 Flutter에 Clean architecture를 적용해 보도록 하자. 드디어 Layer별 어떤 폴더들을 가지게되는지 설명하게 되었다.앞서 설명한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SOLID원칙을 기초로 하여 구현을 하는 게 목표이다. 하나하나씩 살펴보자.Domain LayerDomain Layer는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담고 있는 계층이다. 이 계층은 프레임워크에 독립적이며, 순수한 Dart 코드로 작성되며, 테스트가 용이하고, 다른 기술 스택으로 교체할 때도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EntitiesUse CasesRepositories(Interfaces)Domain Layer에서는 위 3가지 요소들이 포함이 되어있다.하나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EntitiesEntiti..

Study/기타 2024.06.20

22. [Flutter] 상태 관리(Riverpod)를 이용하여 비동기 관리하기

이번에는 Flutter의 riverpod을 이용하여 비동기관리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https://riverpod.dev/ko/ Riverpod어디서나 공유 상태 선언하기 더 이상 main.dart과 UI 파일 사이를 오갈 필요가 없습니다. 공유 상태의 코드를 별도의 패키지에 넣든, 필요한 위젯 바로 옆에 넣든, 테스트 가능성을 잃지 않고 적절riverpod.dev우선 공식자료는 다음과 같다. Riverpod이란?우선 들어가기에 앞서 riverpod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https://github.com/rrousselGit rrousselGit - OverviewFlutter enthusiast. You'll find me on stackoverflow. Or as a speaker in F..

Study/Dart,Flutter 2024.06.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