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앱 개발자에서 AI서버를 만들려고 마음먹은 이유
AI 기술이 너무나도 빠르게 발전하면서, 내가 현실 세계에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평생 Flutter 앱 개발만으로 먹고살기는 어렵다는 걸 진작에 알고 있었다. 실제로 나보다 10~20살 많은 개발자들을 보면, 하나의 프레임워크로만 일을 지속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기술을 함께 익혀야 할까? 그 고민이 시작이었다.
결국, 이 세상에서 개발자로 살아남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실력뿐만 아니라 그 기술의 수요라고 생각했다. 앞으로 AI 기술의 수요는 꾸준할 것이고, 앱 개발은 특정 플랫폼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기반 기술이 될 것이라 판단했다. 그렇다면 AI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그러던 와중 DeepSeek이 2025년 1월 20일에 발표되면서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오픈소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 이 기회를 활용해 내가 직접 AI서버를 구축해 보고, 내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해 보자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타로 카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비슷한 주제를 활용해 연습해 보기로 했다.
앞으로의 목표
나의 목표는 AI 서버를 구축하여 API로 Flutter와 연동하는 것이다. 단순한 AI 응답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앱 내부의 데이터와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맞춤형 A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이를 위해 AI의 다양한 기능을 학습하고,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728x90
'Study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G에 대하여, 벡터 데이터베이스 (0) | 2025.02.01 |
---|---|
RAG 기반 AI 서버 구축: 기초지식 다지기 (2) | 2025.02.01 |
새로운 AI DeepSeek에 대하여 (2) | 2025.01.30 |
Flutter의 Clean Architecture 클린아키텍처, 각 Layer에 대하여 (0) | 2024.06.20 |
Clean Architecture 클린아키텍처, 객체지향 디자인 5원칙 SOLID[5부] (1) | 2024.03.23 |